트럼프 상호관세 이후 암호화폐 시장 붕괴… 비트코인 가격, 회복할까? 지난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가 암호화폐 시장과 글로벌 주식시장 모두에 큰 타격을 주었다. 아직 주요 금융 시장에서의 매도세는 끝나지 않았으며 관세 불확실성 속에서 투자자의 불안은 커지고 있다. 트럼프 상호관세 소화 중인 글로벌 금융 시장 – 어디가 바닥일까 4월 2일(현지 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주요 교역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9일부터 적용한다고 발표했다. “해방의 날” 이루어진 충격적 발표는 글로벌 금융 시장에 대혼돈을 야기했으며 수조 달러의 가치가 순식간에 사라졌다. 2일 동안 미국 주식시장에서 3조 1,000억 달러 이상이 증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US stocks lose roughly $3.1 trillion in market value, their largest one-day decline since March 2020, a day after Trump announced new tariff plan that is billed to trigger global retaliation. TRT World's Frank Ucciardo has more from Wall Street, New York pic.twitter.com/XwDkPydB20 — TRT World Now (@TRTWorldNow) April 4, 2025 게다가 6일(현지 시각) 미국 상무 장관 하워드 러트닉이 미국이 협상을 위해 상호관세 부과를 연기하거나 유예할 가능성이 없으며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가 농담이 아니었다고 CBS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밝혔다. 관세 전쟁 긴장감이 해소될 여지가 보이지 않으면서 오늘 아시아 증시는 일제히 급락했다. 한국 코스피는 5.57%, 일본 닛케이는 7.83%, 홍콩 항셍지수는 13.7%,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7.3% 떨어지며 장을 마감했다. 코스피 하락폭과 하락률은 2024년 8월 5일 ‘블랙먼데이’ 이후 최대치였으며 외국인의 자금 순유출이 두드러졌다. 한국의 경우 미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이 전 거래일보다 33.7원 오른 1,467.8원에 마감해 5년 만에 최대폭 상승을 기록했다. 아시아 증시가 급락 마감하면서 미국 증시도 블랙 먼데이 같은 폭락 움직임을 보일지에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미증시가 함께 폭락하는 경우 비트코인도 그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여 변동성에 대비할 코인투자 전략을 고려해야 한다. 국내 투자자의 경우 환율 변동성을 함께 고려해 신중하게 시장에 접근해야 한다. 비트코인, 주식시장과 디커플링되는 듯 하더니 끝내 급락 지난주 트럼프 관세 발표 이후 미증시가 2일 연속 폭락할 때 비트코인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움직임을 보이면서 드디어 비트코인이 디커플링되고 있다는 관점이 나타났다. 비트코인이 헷지 수단이자 대안적 가치 저장의 수단으로 인정받기 시작하고 있다는 추측도 나왔다. This is actually wild to see— for the first time, Bitcoin is decoupling right before our eyes 🤯 pic.twitter.com/b4G3HWqWBo — Cory Bates (@corybates1895) April 4, 2025 그러나 오늘 비트코인마저 급락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비트코인은 코인마켓캡 기준 24시간 전 대비 8.05% 하락한 7만 6,288달러에 거래되었다. 24시간 거래량은 전일 대비 373% 증가한 646억 달러를 기록해 높은 변동성을 반영했다. 국내 시장도 마찬가지였다. 업비트 비트코인 시세는 기사 작성 시점 기준 1억 1,464만 원으로 오늘 오전 9시 대비 2.45% 하락했다. 업비트에서 24시간 거래량이 가장 높은 암호화폐는 엑스알피(리플)였다. XRP 가격은 오전 9시 대비 7.67% 하락한 2,659원에 거래되었다. 출처: 업비트 거래소 스크린샷 코인글래스 통계를 보면 지난 24시간 동안 암호화폐 롱 포지션 12억 1,000만 달러가 청산당했다. 이 중에서 비트코인 롱 포지션이 4억 500만 달러를 차지했으며 이더리움 롱 포지션은 3억 4,4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 기간에 45만 3,046명의 트레이더가 청산당했다. 최대 규모의 단일 청산 주문은 OKX에서 발생했으며 BTCUSDT 708만 달러 포지션이 청산되었다. 출처: 코인글래스 스크린샷 비트코인을 제외한 주요 알트코인의 상황은 더욱 심각했다. 코인마켓캡에서 시가총액 10대 암호화폐 중 비트코인과 스테이블코인 USDT와 USDC, 트론(TRX)을 제외한 모든 알트코인이 24시간 전 대비 두 자릿수 대 하락률을 기록했다. 이더리움(ETH)은 16.41% 하락했으며 솔라나(SOL)는 15.78%, 엑스알피(XRP)는 15.73% 하락했다. 출처: 코인마켓캡 스크린샷 시장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투자자들은 새로운 기회를 찾고 있다. BTC 불 토큰(BTCBULL)은 프리세일을 진행 중이며 440만 달러 넘게 모금해 대안적 투자 기회로 떠오르고 있다. 새로운 기회 찾는 투자자 – BTC 불(BTCULL) 프리세일에 주목 BTC 불(BTCBULL)은 비트코인의 장기 성장과 밈코인의 매력을 결합한 독창적 프로젝트이다. BTC 불은 비트코인이 특정한 가격에 도달할 때 BTCBULL 커뮤니티에 무료 비트코인 에어드랍, BTCBULL 에어드랍, BTCBULL 토큰 소각 등의 혜택을 제공하는 컨셉을 가졌다. 출처: BTC 불 홈페이지 스크린샷 게다가 BTCBULL 스테이킹 풀도 프리세일 기간부터 운영하고 있다. 스테이킹 풀은 신규 ETH 블록당 399.54 BTCBULL을 지급하기 때문에 보상률이 스테이킹 풀 규모에 따라 동적으로 변한다. 기사 작성 시점 기준 스테이킹 예상 보상률은 APY 93%이다. 이미 투자자들이 11억 BTCBULL 이상을 스테이킹 풀에 예치한 것을 스테이킹 대시보드에서 확인할 수 있다. BTC 불의 대표적 유틸리티라고 볼 수 있는 비트코인 에어드랍은 비트코인이 15만 달러에 도달할 때 처음 진행할 계획이다. 이후 5만 달러 단위로 비트코인이 20만 달러, 25만 달러에 도달할 때에도 비트코인 에어드랍이 지급될 예정이다. 비트코인과 연계한 디플레이션 메커니즘도 눈여겨 보아야 한다. 비트코인이 12만 5,000달러에 도달하면 개발팀이 BTCBULL 전체 공급량 중 일부를 영구적으로 소각한다. 12만 5,000달러 이후 5만 달러 단위로 비트코인이 오를 때마다 토큰 소각이 계속 이루어진다. BTC 불 팀은 전체 BTCBULL 공급량의 15%를 마일스톤 토큰 소각에 분배했다. 지금 BTC 불 홈페이지에 방문해 코인 지갑을 연결한 후 ETH, USDT로 $BTCBULL을 구매하면 토큰당 $0.00245에 구매할 수 있다. 이더리움 ERC-20 토큰 표준을 지원하는 주요 코인 지갑을 이용할 수 있지만, 베스트 월렛 앱을 이용하면 토큰 클레임일 전 잔고 확인 등 이점이 존재해 더욱 편리하게 프리세일을 관리할 수 있다. 관련 페이지: BTC 불 가격 전망 비트코인을 비롯한 주요 암호화폐가 폭락하고 글로벌 주식 시장도 높은 불확실성을 보이는 가운데 BTCBULL은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할 만한 프리세일 기회를 제공한다. 투자자는 공식 채널에서 프로젝트 정보를 확인하고 커뮤니티 의견을 참고해 신중히 판단해야 한다. 함께 보기: [코인 투자자 필독] 트럼프 상호관세 이후… 코인투자 전략은? More Articles 비트코인 에이다 창립자 호스킨슨, “비트코인 올해 25만 달러(약 3억 5천만 원) 도달 가능” 전망 Jimin Byun17시간 최근 에이다(ADA) 창업자 찰스 호스킨슨(Charles Hoskinson)이 2025년에 비트코인 가격이 25만 달러(원화 기준, 약 3억 5천만 원)까지 오를 것이라는 대담한 예측을 내놓았다. 비트코인은 올해 초 10만 9,114달러까지 올랐다가 하락 추세를 그리고... 알트코인 팝캣(POPCAT) 코인 최근 89% 상승, 밈코인 시장 다시 들썩… 투자 기회는? Minwoo Kim18시간 솔라나 기반 고양이 테마 밈코인 팝캣(POPCAT)이 지난 7일 동안 89.84% 상승했다. 떠오르는 솔라나 밈코인 파트코인의 강세 모멘텀이 다른 밈코인으로 확산한 모습이다. 팝캣 코인 시세는 기사 작성 시점 기준 $0.2628로 24시간... By Jimin Byun 본 작가는 5년 이상의 암호화폐 및 웹3.0 작가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기술적 분석과 시장 트렌드를 깊이 있게 다루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작가는 블록체인 개발 및 웹3.0 프로젝트에 대한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기술적 관점에서 암호화폐의 잠재력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현재 본 작가는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플랫폼에서 주기적으로 칼럼을 기고하며, 투자자들과 블록체인 기술 애호가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View all of Jimin Byun's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