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련 월드리버티파이낸셜, 관세 유예 발표 직전 이더리움(ETH) 매도 의혹 4월 9일 트럼프 대통령이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상호관세를 발표한 지 13시간 만에 트럼프 대통령이 90일 동안 유예한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글로벌 주식 시장과 가상자산 시장이 강하게 반등했다. 한편 트럼프 관련 탈중앙 금융 기업 월드리버티파이낸셜(WLFI)이 관세 유예 발표 직전 ETH를 매도해 큰 손실을 본 것으로 나타나 화제를 모았다. 이더리움(ETH)은 기사 작성 시점 기준 코인마켓캡에서 24시간 전 대비 1.71% 하락한 1,566달러에 거래되었다. 이더리움은 시가총액 상위 5대 암호화폐 중 유일하게 24시간 전 대비 하락했다. 비트코인(BTC), 엑스알피(XRP), 바이낸스 코인(BNB) 모두 이 기간에 소폭 회복했으며 솔라나 코인은 무려 3.81% 상승했다. 국내 시장에서도 가상자산 시장 투자 심리가 조금 회복한 모습이다. 업비트 이더리움 시세는 229만 8,000원이었으며 전일 대비 1.82% 상승했다. 국내 시장에서는 엑스알피(XRP) 거래량이 6,100억 원을 넘어 가장 높았으며 솔라나 DEX 코인 오르카(ORCA)가 급등하며 인기를 끌었다. 출처: 업비트 거래소 스크린샷 월드리버티파이낸셜 ETH 손절? 온체인 데이터 확인해보니… 온체인 분석 회사 룩온체인이 4월 9일 트럼프 관련 디파이 플랫폼 월드리버티파이낸셜(WLFI)이 이더리움을 매도하기 시작했다고 주장했다. 룩온체인은 월드리버티파이낸셜 관련 지갑을 추적하는 아캄 인텔리전스 대시보드를 참고해 WLFI가 약 1,465달러에 5,471 ETH를 매도했다고 주장했다. Has Trump's World Liberty(@worldlibertyfi) started selling $ETH at a loss? According to Arkham, a wallet possibly linked to #WorldLiberty sold 5,471 $ETH($8.01M) at $1,465 30 minutes ago.#WorldLiberty previously spent ~$210M to buy 67,498 $ETH at an average price of $3,259,… pic.twitter.com/jPMqCiADvt — Lookonchain (@lookonchain) April 9, 2025 이전에 WLFI는 약 2억 1,000만 달러를 들여 ETH를 꾸준히 매입했다. 평균 매입 단가는 3,259달러였으며 글 게시 시점 기준 미실현 손실이 1억 2,500만 달러에 달했다. 이용자들은 월드리버티파이낸셜이 손절매도하기 시작한 것이냐고 추측했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트럼프 대통령이 90일 상호관세 유예 및 중국 관세 인상 계획을 발표했다. 해당 소식에 나스닥 지수가 12% 폭등하는 등 글로벌 금융 시장이 강하게 반등했다. 비트코인(BTC), 솔라나(SOL) 등 주요 암호화폐도 일제히 급등했다. 이더리움도 예외가 아니었다. 이더리움은 관세 유예 발표 직전 1,480달러대에 거래되다가 몇 시간 만에 최고 1,680달러대까지 도달했다. 이후 이더리움 가격은 후퇴하며 잠시 1,500달러 아래로 붕괴했다가 오늘 천천히 그러나 꾸준히 가격을 회복하고 있다. 이더리움 펀더멘털 호재 – SEC부터 CPI까지 이더리움 펀더멘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소식도 연이어 전해졌다. 미 증권거래위원회(SEC)가 ETH 현물 ETF에 대한 옵션 거래를 승인했으며 폴 앳킨스(Paul Atkins)가 미 상원의 인준을 거쳐 신임 SEC 위원장에 최종 임명되었다. 인플레이션 우려도 일부 가라앉았다. 미국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문가 예상치를 밑돌아 전년동월 대비 2.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예상보다 약한 CPI 결과는 미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을 높여 원화 강세와 함께 국내 가상자산 시장에 유동성 증가를 가져올 수 있다. 국내 투자자는 이러한 글로벌 거시경제 환경 변화가 국내 거래소의 프리미엄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이더리움 차트 분석: 회복세 이어간다면 이 가격에 주목 출처: 트레이딩뷰 위의 이더리움 가격 차트는 상호관세 발표 전에 작성한 차트로 이더리움의 추세 돌파를 예측했다. 지금의 가격 움직임과 비교하면 차트의 예측이 정확했다고 볼 수 있다. 만약 이더리움이 펀더멘털 호재와 광범위한 시장의 회복에 힘입어 차트대로 회복세를 이어간다면 다음 목표가로 1,600달러를 내다볼 수 있다. 이어서 1,840달러까지 상승한다면 지난해 트럼프 대통령 당선 후 랠리에서 이더리움이 2,300달러에서 4,000달러까지 상승한 질주를 재현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아직 중국과의 관세전쟁이 어떻게 전개될지 불확실성이 크지만, 주요 국가가 원만하게 협상해 글로벌 긴장감이 완화한다면 상승 랠리를 기대할 만하다. WLFI의 ETH 매도 타이밍 실패 사례는 시장 변동성에 대한 대응 전략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웠다. 이더리움을 필두로 전반적으로 알트코인이 회복세를 보이면서 투자자들은 다음 알트시즌에 대비할 새로운 전략과 프로젝트를 모색 중이다. 특히 시장 변동성에 대응하는 혁신적 보상 메커니즘을 갖춘 이더리움 기반 ERC-20 토큰 BTC 불(BTCBULL)이 주목받고 있다. BTC 불 토큰 – 비트코인 에어드랍 받는 밈코인 BTC 불은 비트코인의 장기 가격 상승 이정표에 따라 BTCBULL 커뮤니티에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는 독창적 유틸리티와 불을 상징하는 밈 마스코트로 인기를 끌며 사전 판매에서 450만 달러 넘게 모금했다. 비트코인이 12만 5,000달러, 17만 5,000달러 등의 이정표에 도달하면 전체 BTCBULL 공급량 일부가 영구적으로 사라진다. 토큰 소각은 남은 토큰의 희소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비트코인이 15만 달러, 20만 달러 등 5만 달러 단위의 가격에 최초로 도달하면 BTCBULL 보유자가 실제 비트코인을 에어드랍받는다. BTCBULL은 ERC-20 토큰이지만 멀티체인을 지원하는 베스트 월렛과의 파트너십에 따라 단일 베스트 월렛 앱에서 간편하게 비트코인 에어드랍을 받을 수 있다. 지금 BTC 불 홈페이지에 방문하면 $0.002455에 $BTCBULL을 구매할 수 있다. 더 자세한 소식은 BTC 불 엑스(전 트위터) 계정이나 텔레그램 그룹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관련 페이지: 2025년 알트코인 순위 월드리버티파이낸셜의 ETH 매도 타이밍 실패는 시장 예측의 어려움을 보여주는 사례다. 반면 하락장을 인내한 투자자들은 이제 회복세에 힘입어 다음 알트코인 시즌을 준비하고 있다. BTC 불 토큰은 비트코인 가격 상승과 연동한 혁신적 보상 메커니즘으로 새로운 투자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물론 비트코인 가격 상승에 의존하는 구조적 특성에 따른 위험도 존재하므로 투자자가 자신의 포트폴리오와 위험 감수 성향에 맞게 신중하게 분석해야 한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 변화로 시작한 시장 변동성 속에서 투자자의 현명한 선택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함께 보기: 페페코인 전망: 주요 밈코인과 강한 회복력 보여준 PEPE More Articles 비트코인 에이다 창립자 호스킨슨, “비트코인 올해 25만 달러(약 3억 5천만 원) 도달 가능” 전망 Jimin Byun18시간 최근 에이다(ADA) 창업자 찰스 호스킨슨(Charles Hoskinson)이 2025년에 비트코인 가격이 25만 달러(원화 기준, 약 3억 5천만 원)까지 오를 것이라는 대담한 예측을 내놓았다. 비트코인은 올해 초 10만 9,114달러까지 올랐다가 하락 추세를 그리고... 알트코인 팝캣(POPCAT) 코인 최근 89% 상승, 밈코인 시장 다시 들썩… 투자 기회는? Minwoo Kim19시간 솔라나 기반 고양이 테마 밈코인 팝캣(POPCAT)이 지난 7일 동안 89.84% 상승했다. 떠오르는 솔라나 밈코인 파트코인의 강세 모멘텀이 다른 밈코인으로 확산한 모습이다. 팝캣 코인 시세는 기사 작성 시점 기준 $0.2628로 24시간... By Jimin Byun 본 작가는 5년 이상의 암호화폐 및 웹3.0 작가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기술적 분석과 시장 트렌드를 깊이 있게 다루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작가는 블록체인 개발 및 웹3.0 프로젝트에 대한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기술적 관점에서 암호화폐의 잠재력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현재 본 작가는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플랫폼에서 주기적으로 칼럼을 기고하며, 투자자들과 블록체인 기술 애호가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View all of Jimin Byun's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