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상호관세 90일 유예 소식에 솔라나($SOL) 10% 이상 상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의 관세 정책에 보복하지 않은 국가의 수입품에 대한 상호관세를 유예한다고 발표한 후 솔라나 가격이 10% 이상 급등했다. 4월 2일 발표한 트럼프 상호관세는 9일 0시 1분부터 부과됐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발효 후 하루가 채 지나지 않은 시점에 협상을 위해 다수의 국가에 대해 상호관세를 90일 유예한다고 발표했다. 최종 합의가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임시로 모든 수입품에 대해 10% 관세를 적용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도 90일 동안 기존 25%에서 10%로 줄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러한 결정의 배경으로 금융시장의 불안정성과 투자자들의 우려를 고려했다고 밝혔으며 발표 직후 S&P 500 지수가 7% 이상 급등하는 등 시장이 즉각 반응했다. 솔라나 코인은 관세 유예 소식에 거래량이 급증하고 가격이 최고 $120까지 올랐다. 기사 작성 시점 기준 솔라나 가격은 $114.62이었으며 24시간 전 대비 7.01% 상승했다. 24시간 거래량은 65억 달러로 같은 기간 12.53% 증가했다. 국내 가상자산 시장도 트럼프 상호관세 유예 소식에 민감하게 반응했다. 특히 새벽 시간대에 솔라나 가격이 급등했는데, 업비트 기준으로 최고 177,750원까지 치솟았다. 그러나 이후 일부 차익 실현 매물이 나오면서 기사 작성 시점에는 솔라나 코인 가격이 169,750원에 거래되었으며 전일 대비 3.06% 하락했다. 이는 글로벌 시장의 변동성을 국내 시장도 즉각적으로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출처: 업비트 거래소 스크린샷 오늘 새벽의 반등 덕분에 솔라나 코인은 2025년 들어 커지기만 했던 낙폭을 일부 줄일 수 있었다. 솔라나 코인은 아직 올해 1월 기록한 사상최고가 $294.33 대비 61.07% 낮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엑스알피(XRP) 등 다른 주요 암호화폐도 유사한 움직임을 보였다. 비트코인은 기사 작성 시점 기준 24시간 전 대비 5.50% 오른 81,712달러에 거래되었다. 이더리움과 엑스알피는 각각 같은 기간 7.67%, 8.28% 오른 $1,593, $1.99에 거래되었다. 🚨BREAKING: A team of ex-Kraken execs has acquired real estate platform Janover (NASDAQ: $JNVR) and announced plans to stockpile @Solana as a core strategic asset.$JNVR stock has surged over 800% following news of a $42 million raise. pic.twitter.com/YpRXOTtntI — SolanaFloor (@SolanaFloor) April 8, 2025 어제 크라켄 전 임원들이 유명 벤처캐피털을 포함한 여러 투자자로부터 4,200만 달러의 투자를 받았다고 발표했다. 이 투자금은 최근 인수한 미국 상장기업 재노버(Janover)를 통해 솔라나 준비금을 설정하기 위해 유치했다. 재노버의 전략은 마이클 세일러의 비트코인 투자 전략과 유사하다. 세일러는 마이크로스트레티지를 비트코인 비축 회사로 만들어 회사 자금으로 최대한 많은 수량의 비트코인을 매입했다. 솔라나 호재에 트럼프 관세 유예 소식까지 더해지면서 솔라나 생태계의 주요 디파이 토큰도 급등했다. 주피터(JUP), 레이디움(RAY), 지토(JTO)는 각각 24시간 전 대비 7.3%, 3.7%, 4.18% 올랐다. 트럼프 상호관세 유예 후 주요 지지선 회복한 솔라나 솔라나 코인 일봉 차트를 보면 새벽의 반등으로 솔라나 코인이 얼마 전 붕괴했던 주요 지지선 $112를 회복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출처: 트레이딩뷰 트럼프 상호관세 유예 발표 전에는 SOL 코인이 15개월 최저가를 재시험할 것처럼 보였다. 이번주에 솔라나 가격은 잠시 $100 아래로 하락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 주요 가격대에서 상당한 매수 압력이 발생했으며 거시경제 상황이 일시적으로 나아지면서 솔라나 전망도 희망을 일부 되찾았다. 당분간 높은 변동성이 지속할 것으로 보여 투자자가 트럼프 행정부의 추가 관세 정책 발표에 따른 시장 변동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상호관세가 90일 유예된 다른 국가와 달리 중국의 경우 모든 수입품에 대한 상호관세율이 125%로 높아졌다. 트럼프 상호관세에 중국 정부가 맞대응하며 보복 관세를 부과했기 때문에 내린 결정이었다고 트럼프 대통령이 전했다. 중국은 미국의 핵심 교역국 중 한 곳인 만큼 시장은 아직 두 국가의 대립이 경제 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게다가 중국 수입품에 대한 관세 인상은 미국 내 인플레이션 심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미 연준이 올해 계획했던 금리 인상을 실행하기 어려워질 수 있으며 결국 암호화폐 같은 위험 자산 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솔라나의 회복세와 함께 솔라나 생태계의 혁신적 프로젝트들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솔라나 네트워크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레이어 2 솔루션인 솔락시(Solax, $SOLX)가 투자자의 관심을 끌고 있다. 솔라나 네트워크 혼잡 문제 해결할 솔락시 – 3,000만 달러 가까이 모금 지난해 12월 사전 판매를 시작한 솔락시는 솔라나 메인넷의 효율성을 개선하는 솔루션으로 2,950만 달러 넘게 모금했다. 출처: 솔락시 홈페이지 스크린샷 솔락시는 사이드체인에서 거래를 안전하고 저렴하게 처리한 후 여러 개를 묶어 메인넷에 업로드한다. 결과적으로 솔라나 체인의 블록당 처리할 수 있는 거래 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메인넷의 혼잡이 감소하고 거래 실패 등의 오류를 줄일 수 있다. 개발팀은 L2 개발과 관련해 여러 차례 업데이트 소식을 전했다. 솔락시 팀은 소버린랩스(Sovereign Labs), 하이퍼레인(Hyperlane) 등의 첨단 블록체인 기업과 협력해 초기 테스트를 진행했으며 성공적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투자자는 보유한 $SOLX을 스테이킹해 네트워크 안정화에 기여하면서 APY 137%의 토큰 보상도 얻을 수 있다. 스테이킹 풀 보상률은 예치된 토큰 수에 따라 동적으로 변동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SOLX 토큰을 구매하려면 솔락시 웹사이트에 방문해 먼저 코인 지갑을 연결해야 한다. 이후 ETH나 SOL, USDT로 $SOLX을 구매할 수 있다. 관련 페이지: 솔락시 구매방법 트럼프 관세 유예 발표로 인한 시장 안정화와 솔라나 코인 가격의 반등은 솔라나 생태계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솔락시와 같은 혁신적 프로젝트는 솔라나의 장기적 성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다. 다만 투자자는 솔락시의 백서와 로드맵을 철저히 검토하고 프리세일 단계 코인 투자에 내재한 위험을 충분히 인지한 후 신중하게 접근해야 할 것이다. 함께 보기: 이더리움(ETH), 트럼프 관세 여파로 1,500달러 붕괴… $1,000 가능성은? More Articles 알트코인 AI 에이전트 기반 웨이파인더(PROMPT), 바이낸스·바이비트 현물 상장 가능성 주목 Minwoo Kim5시간 옴니체인 AI 에이전트 프로토콜 웨이파인더(Wayfinder, $PROMPT)가 4월 10일(현지 시각) 토큰생성이벤트(TGE)를 진행한 후 굵직한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에 잇따라 상장하며 투자자 이목을 끌고 있다. 이미 바이낸스, 바이비트 선물 시장에서 웨이파인더 코인을 거래할... 알트코인 트럼프 관세 폭탄에도 “비트코인 가격 안정성 돋보였다” NYDIG 애널리스트 분석 Minwoo Kim8시간 트럼프 관세 정책 발표로 주요 국가 간 무역 전쟁이 격화하는 상황에서 뉴욕디지털투자그룹(NYDIG) 애널리스트가 비트코인(BTC)이 비교적 안정성을 보였다고 분석해 많은 관심을 받았다. 비트코인 가격은 기사 작성 시점 기준 8만 5,419달러였으며 24시간... By Minwoo Kim 본 작가는 8년 이상의 암호화폐 트레이딩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투자 전략을 연구하고 개발해 온 전문가입니다. 그는 시장의 변동성 속에서도 꾸준히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트레이딩 기법을 독자들과 공유하며, 실시간 시장 분석과 전략적 조언을 통해 많은 투자자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현재 본 작가는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플랫폼에서 주기적으로 투자 전략에 관한 글을 기고하고 있으며, 최신 시장 동향과 기회를 독자들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View all of Minwoo Kim's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