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북 코인, 업비트·바이낸스 상장 효과로 폭등…수이(SUI) 디파이 성장세 주목

딥북 코인, 업비트·바이낸스 상장 효과로 폭등…수이 디파이 성장세 주목
출처: 딥북 공식 홈페이지

딥북 코인(DEEP)이 22일에 업비트 원화마켓과 바이낸스 무기한 선물 시장에 상장하면서 2일 동안 두 배 넘게 올라 화제를 모았다.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가 수이 네트워크의 유동성 애그리게이터 프로토콜 딥북 코인을 원화마켓에서 추가 지원한다고 22일 13:58분경 공지한 후 같은날 오후 2시 30분부터 거래를 지원했다.  

딥북이 어제 업비트에서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에 최초로 거래하기 시작한 것은 아니다. 업비트는 기존에 USDT, BTC 마켓에서 딥북 코인 거래를 지원하고 있었지만, 원화마켓이 가장 거래량과 유동성이 많아 딥북 시세에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빗썸, 코인원 등 다른 가상자산 거래소도 딥북 프로토콜 거래를 이미 지원하고 있다. 

같은날 세계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낸스에서도 딥북 코인의 무기한 선물 거래를 최대 50배 레버리지로 지원한다고 공지했다. 

바이낸스 딥북 무기한 선물 상장 공지
출처: 바이낸스 스크린샷

업비트 원화마켓 상장 및 바이낸스 무기한 선물 상장이 딥북 코인에 미친 영향은 빗썸 차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빗썸 거래소의 딥북 코인 차트를 보면, 업비트가 원화마켓 상장을 공지하기 전에는 DEEP 코인이 약 130원대에서 횡보했다. 그러나 업비트가 공지하자마자 업비트 상장 기대감으로 강한 매수 압력이 발생하며 딥북 시세가 267원까지 치솟았다. 

빗썸 딥북 코인 차트 업비트 상장 효과 보여줌
출처: 빗썸 거래소 스크린샷

업비트에서 거래를 지원하기 시작하자 업비트에서는 약 210원까지 가격이 올랐다가 횡보했으며 빗썸에서도 유사한 가격 움직임이 나타났다. 오늘 오전부터 다시 딥북 코인의 상승 모멘텀이 커졌다. 업비트에서 최고 336.6원까지 급등했던 딥북 코인은 기사 작성 시점 기준 298.5원에 거래되었으며 전일 대비 가격 변동률 16.47%를 기록했다. 딥북의 업비트 상장 공지 전 가격대에 비하면 약 130% 상승한 셈이다.

딥북 업비트 차트
출처: 업비트 거래소 스크린샷

딥북 프로토콜 소개

딥북은 수이(Sui) 생태계의 유동성 애그리게이터 프로토콜로 디파이 프로토콜 사이에 파편화된 유동성을 통합해 유동성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한다. 딥북은 지정가 주문 형태를 지원해 DEX 이용자도 CEX처럼 원하는 가격에 매수 및 매도 주문을 실행할 수 있다. 딥북에서 모든 주문 라우팅, 매칭, 처리가 온체인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투명성과 프로그래밍 가능성이 높으며 이용자는 슬리피지 최소화, 빠른 거래 속도 등의 혜택을 누릴 수 있다. 

네이티브 토큰 DEEP은 딥북의 거래 수수료, 거버넌스, 스테이킹 등에 이용할 수 있다. 스테이킹 시 거래 수수료 할인 등의 인센티브를 얻을 수 있다. 

딥북은 지난주 딥북 버전3 (DeepBookV3)를 공개했다. 딥북은 수이 체인 위 DEX 프로토콜이지만 직접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다. 딥북을 이용해 거래하려면 딥북이 통합된 지갑이나 디앱을 통해 거래할 수 있다. SDK나 개발 도구를 활용해 직접 딥북 스마트 컨트랙트와 상호작용해 거래할 수도 있다. 이미 딥북은 수이 생태계의 여러 DEX에 통합되었다. 딥북 홈페이지에 따르면 애프터매스 파이낸스(Aftermath Finance), 키리야(KriyaDEX), 시터스(Cetus), 터보스(Turbos) 등의 DEX에서 딥북을 활용해 거래할 수 있다.

딥북 코인 전망 – 장단기 가격 전망

딥북 코인은 업비트와 바이낸스 선물 동시 상장으로 투자자의 관심을 집중적으로 받았다. 자산의 매수 강도와 매도 강도 사이 상대적 비율을 나타낸 상대 강도 지수(RSI)는 딥북 일봉 차트에서 88.14를 기록했다. 일반적으로 RSI가 30 이하면 과매도 구간, 70 이상이면 과매수 구간에 진입했다고 보기 때문에 딥북 코인의 RSI는 과열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게다가 볼린저밴드 상단을 돌파한 점도 과열 상태를 암시했다. 

딥북 코인 과열 신호 나타나는 차트
출처: 트레이딩뷰

따라서 단기 차익 실현 매물이 나오면서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 그러나 업비트 상장 효과에 따른 한국 투자자 유입, 바이낸스 무기한 선물 상장으로 인한 유동성 확대가 단기적으로 추가 상승 모멘텀을 제공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이에 따라 200 ~ 350원대에서 급격한 변동성이 나타날 수 있으며 단기 저항선은 330~ 350원, 지지선은 200 ~ 220원 구간이 주요 변곡점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한다. 투자자는 단기 시세 변동성에 유의하여 신중하게 대응해야 한다. 특히, 가상자산 투자는 본질적으로 높은 변동성과 손실 위험을 수반하므로 투자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감당 가능한 범위 내에서 신중하게 투자해야 한다.

장기적으로는 딥북 프로토콜의 채택 및 그에 따른 생태계 내 입지 확대에 따라 딥북 코인이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예측한다. 딥북이 수이 디파이 생태계의 주된 유동성 레이어로 여러 디앱 및 트레이더가 이용한다면 거래 수수료로 필요한 DEEP의 수요가 증가할 수 있다. 

딥북은 로드맵에서 무기한 선물 지원, 퍼미션리스 대출, 크로스체인 유동성 애그리게이션 등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따라서 수이 생태계 대표 대출 서비스인 나비 프로토콜(NAVX), 탈중앙 스토리지 솔루션 월러스(WAL) 등의 주요 플랫폼이 딥북을 인프라로 활용할 가능성이 존재해 미래 성장 잠재력이 크다. 

다만, 장기 투자 시 시장의 불확실성, 규제 변화, 기술적 결함, 프로젝트 팀의 운영 리스크 등 다양한 변수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투자자는 프로젝트의 백서, 개발 현황, 커뮤니티 활동 등 신뢰할 만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분산 투자와 같은 리스크 관리 전략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

관련 페이지: 바이낸스 상장 예정 코인 순위

수이 디파이 생태계 주목하는 투자자들

월러스, 딥북 등 수이 생태계의 코인이 강한 모멘텀을 보이면서 수이 레이어 1 네이티브 토큰 SUI도 큰 폭으로 상승했다. 업비트에서 수이 코인(SUI)은 기사 작성 시점 기준 전일 대비 10.03% 상승한 4,302원에 거래되었으며 24시간 거래대금도 1,293억 원을 기록해 투자자 관심이 높다고 확인할 수 있다. 3월 28일 상장한 월러스(WAL)는 전일 대비 8.98% 오른 733.1원에 거래되었다. 

함께 보기: 페페(PEPE) 코인 강세에 밈코인 프리세일도 활기… 솔락시 3,100만 달러 모금

By Minwoo Kim

본 작가는 8년 이상의 암호화폐 트레이딩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투자 전략을 연구하고 개발해 온 전문가입니다. 그는 시장의 변동성 속에서도 꾸준히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트레이딩 기법을 독자들과 공유하며, 실시간 시장 분석과 전략적 조언을 통해 많은 투자자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현재 본 작가는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플랫폼에서 주기적으로 투자 전략에 관한 글을 기고하고 있으며, 최신 시장 동향과 기회를 독자들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