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비트코인 보유량 전 세계 국가 중 3위… 국제 제재 회피 수단으로 활용 북한 비트코인 보유량이 전 세계 정부 소유 비트코인 순위에서 3위에 올랐다. 최근에 발생한 대형 북한 비트코인 해킹 사건이 이에 기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가별 비트코인 보유량.. 북한 비트코인 보유량 3위 바이낸스뉴스 3월 16일 기사에 따르면 북한이 바이비트 해킹으로 탈취한 이더리움을 비트코인으로 바꾸며 전 세계 정부 중 가장 많은 비트코인을 보유한 순위 3위에 들게 되었다. 현재 북한은 1만 3,562 BTC를 보유한 것으로 추정된다. 🚨 LATEST: North Korea now holds more #Bitcoin than Bhutan and El Salvador, with 13,518 $BTC ($1.13B), largely tied to the $1.4B Bybit hack. pic.twitter.com/7fNgxdxCPY — Cointelegraph (@Cointelegraph) March 17, 2025 이보다 많은 비트코인을 보유한 정부는 미국(198,109 BTC)과 영국(61,245 BTC) 뿐이다. 이로써 북한은 엘살바도르(6,117 BTC)와 부탄(10,635 BTC)의 보유량도 넘어섰다. 한편 비트와이즈 등 여러 전문 기관이 중국 정부가 19만 개의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우크라이나가 4만 6,000개 이상의 비트코인을 보유한 것으로 추정하는 점을 고려하면 북한 비트코인 보유량이 약 5위라고 볼 수 있다. 출처: 비트와이즈 참고로 미국과 영국은 범죄 수익으로 압수한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엘살바도르는 비트코인을 법정 통화로 채택하고 국가 기금으로 비트코인을 매입하고 있다. 부탄은 비트코인 채굴 산업을 추진하고 있다. 북한 해킹 조직 ‘라자루스’가 보유한 비트코인의 온체인 현황은 아캄인텔리전스 대시보드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북한 비트코인 보유량이 기사 작성 시점 기준 1만 3,521 BTC로 나타났다. 북한 비트코인 수입원…. 북한 비트코인 해킹 조직 ‘라자루스’는 누구? 라자루스 그룹(Lazarus Group)는 북한 비트코인 해킹 조직으로 정부의 지원을 받아 국제 제재를 피해 외화를 벌어들이는 북한의 새로운 수입원 중 하나일 수 있다는 시각이 존재한다. 라자루스는 멀웨어, 소프트웨어 취약점 공격, 스피어 피싱, 사회적 엔지니어링 등 다양한 수법을 활용하며 첨단 자금 세탁 방법으로 탈취한 가상자산을 현금화하고 있다. 라자루스는 그동안 유명 대기업과 은행 등 다양한 기관을 공격해 이름을 알렸으며 민감한 개인 정보를 유출하고 자금을 탈취했다. 2014년에 라자루스 그룹은 “더 인터뷰(The Interview)”라는 영화에 대한 보복으로 소니 픽처스를 해킹해 개인 정보를 유출하며 유명세를 얻기 시작했다. 2016년에는 방글라데시 은행으로부터 8,100만 달러를 탈취했다. 최근 들어서는 글로벌 감시망을 피하기 위해 디지털 자산 탈취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2022년에 라자루스는 엑시인피티니가 이용하는 로닌 네트워크를 공격해 6억 2,000만 달러를 탈취했다. 당시 라자루스는 시니어 엔지니어에게 거짓 링크드인 제안을 보내 공격을 개시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외에도 2020년 쿠코인 거래소 공격, 2022년 호라이즌 브릿지 공격, 2023년 아토믹 월렛 공격 등 다수의 해킹 공격이 라자루스의 범행인 것으로 추측된다. 라자루스 – 바이비트 15억 달러 탈취로 비트코인 얻어 지난 2월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로 바이낸스 다음으로 거래량이 많은 바이비트(Bybit)가 해킹 공격을 당했다. 당시 이더리움, 스테이킹된 이더리움 등 디지털 자산 15억 달러 상당이 콜드월렛에서 탈취되었으며 이후 라자루스의 소행인 것으로 드러났다. 라자루스는 바이비트가 콜드월렛에서 핫월렛으로 정기적으로 이더리움을 이동하는 과정에서 조작된 ‘세이프’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악성 트랜잭션에 서명하도록 유인했으며 결과적으로 이더리움 지갑 통제권을 얻었다. 이후 라자루스는 탈취한 이더리움을 토네이도캐시 등을 이용해 자금 세탁해 비트코인으로 전환했다. 토네이도캐시는 암호화폐 믹싱 플랫폼으로 암호화폐를 다른 이용자의 자금과 섞어 자금 출처의 추적이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이외에도 북한 비트코인 해킹 조직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자금을 세탁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은 미숙한 트레이더로 가장해 마치 손실을 기록한 것처럼 꾸몄지만 실제로는 자금을 세탁하기 위한 거래를 진행했다. 🚨 ALERT: North Korean hackers, including the Lazarus Group, are laundering crypto by pretending to be inexperienced traders and intentionally losing money. In one example, they swapped 90000 $USDC for 2300 $USDT, making it look like a mistake while secretly profiting through… pic.twitter.com/41XpGbLFYF — Cointelegraph (@Cointelegraph) March 18, 2025 바이비트는 바운티 프로그램을 출시하는 등 탈취된 자산을 회수하는 데 만전을 기했지만 3월 10일 기준 약 4,000만 달러를 회수하는 데 그쳤다. OKX, 라자루스 공격 차단 위해 디파이 서비스 중단 3월 17일에 가상자산 거래소 OKX는 라자루스 해킹 시도 정황을 파악해 이를 차단하기 위해 디파이 서비스를 중단한다고 밝혔다. 증가하는 사이버공격 피해에 암호화폐 기업들은 보안 강화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OKX는 최근 웹3 DEX 애그리게이터를 위한 해커 주소 탐지 시스템을 출시했으며 해커의 최신 주소를 추적해 실시간으로 CEX에서 차단하는 시스템을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이외에도 보안 강화를 위해 다중인증 시스템, 2단계 인증 등을 도입하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북한 비트코인 보유량이 전 세계 정부 중 3위에 오른 것은 북한이 국제 제재를 피하고 자금을 조달하는 새로운 수단으로 암호화폐를 활용하고 있다고 보여준다. 이러한 상황은 국내 투자자에게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북한이 탈취한 비트코인을 시장에 매도할 경우 비트코인 가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암호화폐 시장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다. 또한 북한 비트코인 탈취 등 사이버 위협이 증가하면서 정부와 규제 기관이 암호화폐 규제를 강화할 가능성이 높다. 규제 강화는 암호화폐의 유동성과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투자자는 이러한 변화에 대비해야 한다. More Articles 알트코인 밈코인 시장 숨고르기, 지금 투자하기 좋은 코인은? Minwoo Kim6시간 밈코인 시장이 며칠 동안 상승한 후 주말 사이 다시 숨돌리기에 돌입했다. 시장이 잠시 쉬어가는 지금, 어느 밈코인을 저가에 매수해야 할까? 밈코인 시장 전체의 시가총액은 전일 대비 3.32% 하락했다. 대부분의 밈코인이... 알트코인 월러스 코인(WAL) 메인넷 출시와 나비프로토콜 협력, 전 세계 거래소 상장 Minwoo Kim3일 수이 체인 위 탈중앙 스토리지 솔루션 월러스(Walrus, $WAL)가 27일 메인넷을 출시하고 전 세계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에 토큰을 상장했다. 27일 토큰 출시와 함께 동시 상장을 추진한 주요 거래소 중 국내 거래소에는... By Jimin Byun 본 작가는 5년 이상의 암호화폐 및 웹3.0 작가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기술적 분석과 시장 트렌드를 깊이 있게 다루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작가는 블록체인 개발 및 웹3.0 프로젝트에 대한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기술적 관점에서 암호화폐의 잠재력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현재 본 작가는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플랫폼에서 주기적으로 칼럼을 기고하며, 투자자들과 블록체인 기술 애호가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View all of Jimin Byun's posts